기록하는, 나의 일/공부

도전받는 K배터리/동아일보

러빙빈센트 2024. 7. 10. 10:50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75367?sid=101

韓 배터리 매출 올해 첫 역성장… 中 가격-日 기술력 매서운 협공

올해 한국 배터리 업계 매출이 2010년 관련 매출을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전년 대비 줄어들 게 확실시된다. 성장 일변도를 달려온 배터리 업계가 첫 역성장에 직면하는 것이다. 반면 한국과 경쟁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75391?type=journalists

배터리 수출 작년 31조원, 품목별 7위… 전국에 생산공장 지역경제 활성화도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한국 경제의 수출 역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출 품목별 순위로 조선업을 이미 뛰어넘은 데다 각 지역의 생산 거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

n.news.naver.com

 
올 초 'K-배터리 밸류업 리포트'라는 기획을 썼다. 팀 기획이었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진 않았지만, 국내 2차전지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에 속한 소재·부품 ·장비(소부장) 기업 중 기술력 있고 유망한 기업을 발굴해 소개하자는 취지였다. 물론 이것도 의미가 없다고 할 순 없겠다. 캐즘이 장기화된다고 해도 이들 기업이 사업을 키우며  K 밸류체인을 지탱해야 한국 배터리 산업이 강해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 기업을 조명하는 건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동아일보 기획처럼 산업 관점에서 크게 보고 위기나 과제를 짚어주는 게 내가 쓰고 싶은 기사다. 개별 기업을 다루라는 지금 회사에서 지시하는 방향과는 맞지 않아 고민이 많지만. 언젠가는 나도 쓸 수 있기를. 
 
-에프앤가이드와 증권가 집계에 따르면 한국 배터리 업계는 올해 연말 기준 전년 대비 역성장할 게 확실시됨. 2010년 매출 집계 이후 첫 역성장에 직면. 반면 중국과 일본 배터리 업계는 성장세가 점쳐짐. 여기에서부터 출발한 기획 
-전기차 트렌드가 성능에서 가격 중심으로 바뀌고 있어 한국도 가성비 배터리 개발에 주력해야 하고, 정부가 직접 보조금 지급 등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 
-중국 CATL이 공개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kg당 205Wh(와트시)에 달함. 배터리 업계는 앞으로 2, 3년 내 LFP 점유율이 삼원계를 앞지를 것으로 보고 있음. (삼원계가 더 에너지밀도 높일 수는 없나? LFP가 삼원계를 넘어설 수 없는 단점은? 안전성이라든지) 
-일본 파나소닉은 테슬라가 탑재하는 원통형 배터리 분야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 R&D에 사활을 걸고 있음. 현재 원통형 시장의 주류는 2170(지름 21mm, 높이 70mm) 배터리. 차세대는 4680(지름 46mm, 높이 80mm) 시장(국내기업의 4680 개발 단계. 파나소닉과의 경쟁 강도)
-국내 배터리 업계가 수세에 몰린 가장 큰 이유는 전기차 캐즘 때문.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소비자들이 중저가 전기차를 찾자 전기차 원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배터리에서도 중저가 기술이 각광받기 시작한 것. 
-배터리 업계 한 임원은 “배터리 공장은 장비 국산화 비율이 높아 공장을 지으면 연관된 부품 회사들도 함께 성장한다”며 “반도체 못지않게 배터리에 대해서도 국민적 관심과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 배터리의 경우 장비 국산화 비율이 매우 높아 국내 장비 기업의 동반 성장에도 기여한다고 배터리산업협회는 밝혔음.  
 
[최석철의 딜 막전막후] 도마 위에 오른 IPO '깜깜이 심사' (naver.com)

[최석철의 딜 막전막후] 도마 위에 오른 IPO '깜깜이 심사'

▶마켓인사이트 7월 9일 오후 4시 20분 올해 초 이노그리드의 코스닥 상장 승인 여부를 가리는 상장위원회 회의에선 격론이 오갔다. 심사위원 사이에 의견이 갈렸다. 상당수는 상장 미승인 의견

n.news.naver.com

 
최근 관심이 가는 자본시장 관련 기사라 저장. 상장 기업가치 관련해 더 공부해 기사로 발전해보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다. IPO 심사 자체도 깜깜이로 진행된다고 하니 이것도 개선돼야 할 점이 있는 것 같다.